학교안전공제중앙회, 29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학교안전사고 통계발전포럼 개최’정훈 이사장,“학교안전사고 통계의 국가승인통계화를 통해 학교안전관리 체계의 전환점 계기 마련”
통계발전포럼에는 공제중앙회 정훈 이사장과 통계전문가, 17개 시‧도교육청 학교안전담당 실무책임자, 시‧도학교안전공제회 담당자 등 80여명이 참석해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현황보고를 시작으로 서울대학교 통계학과 장원철 교수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디지털 문해력’을 주제로 발표하였다.
두 번째 기조강연은 학교안전사고 국가안전 정책 전문가인 서울대학교 금현섭 교수가 ‘학교안전: 정책의 차원 vs. 자료의 차원’이라는 주제로 진행하였다.
이어 임도빈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가 좌장을 맡아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발전방안’을 주제로 종합토론을 진행하였으며, 민경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엄석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메리암 람리(Meryem Lamri) 두바이 로타나 뮤직 마케팅 매니저가 패널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종합토론에서는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데이터 활용방안, AI와 빅데이터 분석 기법 활용방안, 국외 사례 분석 및 벤치마킹을 통한 시사점을 강조하였고, 디지털 시대에 발맞추어 학교안전사고 데이터와 AI기술을 어떻게 융합하고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학교안전사고 통계는 주로 정부나 시‧도교육청의 내부 자료로 활용되거나, 일부만 공개하여 사고발생에 따른 그 원인 분석이나 후속조치 등에 제한적으로 활용되었다. 이에 공제중앙회는 학교안전사고통계의 대국민 서비스 및 데이터 기반 학교안전을 강화하기 위하여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국가승인통계화’를 추진해 왔다.
정 이사장은 통계발전포럼에서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국가승인통계화는 학교안전관리 체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의미한다”며, “이를 통해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학교안전사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방정책을 마련하고, 학교의 안전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간, 공제중앙회는 학교안전사고 예방과 학생들의 안전한 학교생활을 위해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수 집 및 분석을 통한 정책제안, 예방프로그램 개발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끝으로 정 이사장은 "학교안전사고의 정확한 통계와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효과적인 안전교육정책 추진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번 통계발전포럼이 학교안전을 위한 새로운 이정표가 되길 바라고, 지속적으로 학교안전사고 통계의 발전을 위한 노력과 더 나아가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이어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치매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